인천공항공사, CES 2025 참가해 공항 서비스 혁신기술 발굴
  • 작성일 2025.01.15
  • 조회수 39

인천공항, AI 혁신 박차로 세상을 바꾸는 공항으로 도약

인천공항공사, CES 2025 참가해 공항 서비스 혁신기술 발굴 !!! 

공항 서비스 혁신에 적용 가능한 첨단기술 발굴 및 선도기업과 업무협약 체결


.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에 참가해 디지털 대전환 관련 글로벌 최신 동향을 살피고 공항 서비스 혁신에 적용 가능한 첨단기술을 발굴했다고 15일 밝혔다.

* CES :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전 세계 최대 IT 전시회로, 올해는 ‘Dive In(다이브 인)’을 주제로 AI 기술 등 중점 소개

공사는 지난해 인천공항 개항 23주년을 맞아 디지털 대전환을 선포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항운영 전 분야 및 업무 프로세스 전반에 걸친 디지털 대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 7공항을 넘어, 세상을 바꿉니다라는 슬로건을 바탕으로 비전 2040을 선포하고, 디지털 대전환, 친환경 넷제로, AI 혁신 허브의 3대 포커스 과제를 선정해 집중 추진하고 있다.

이번 CES 참가는 이처럼 공사가 역점을 두고 있는 디지털 대전환 추진전략의 일환이다.

앞서 공사는 지난해 1월에 열린 CES 2024에 참가해 삼성SDS, 두산로보틱스, HL만도 등 국내 유수기업의 혁신기술을 발굴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생성형 AI 기반 스마트 회의 솔루션 협동로봇 주차로봇 등의 개념검증(PoC)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다.

올해 전시에서 공사 이학재 사장과 임직원은 아마존의 차량용 AI 매핑 솔루션, 마이크로소프트의 공감형 AI 고객 에이전트 등 공항에 도입할 수 있는 신기술을 확인하고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AI, 자율주행 등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고 있는 글로벌 유수 기업 관계자와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향후 협력계획 등을 논의하였다.

특히 공사가 검토 중인 ‘AI 활용 공항 주차장 운영 효율화 시스템의 도입을 위해서는 멀티모달 AI* 기술과 라이다(LiDAR)* 기술의 고도화가 필수적인 만큼, 해당 기술 발굴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각 분야 선도기업과 현장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 멀티모달 AI : AI를 활용해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를 포함한 다양한 입력을 프롬프트로 처리하고 출력하는 기술

* 라이다(LiDAR) : 광센서의 일종으로 대상물에 레이저를 쏜 후 그 반사광을 계측하여 대상물까지의 거리 및 대상물의 형태를 측정하는 기술

해당 업무협약은 인천공항의 안전보안 첨단화와 장기주차장 운영효율화를 위한 공동 연구과제 발굴과 개념검증(PoC)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공사는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공항 운영 현장에 인공지능 및 라이다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본격 검토할 계획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 이학재 사장은 이번 CES에서 발굴한 첨단기술의 도입 가능성을 검토해 인천공항의 서비스 수준을 혁신해 나갈 계획이다특히 전 세계적으로 AI 기술 발전 및 혁신의 파급력이 커지고 있는 만큼 인천공항 역시 AI 혁신 허브 조성 및 AI 산학연 생태계 구축을 통해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고 나아가 세상을 바꾸는 공항으로 거듭날 계획이다고 말했다.

별첨 : 관련 사진 2

- 사진 1 : 인천국제공항공사는 CES 2025에 참가해 공항 서비스 혁신에 적용 가능한 첨단기술을 발굴하고 각 분야 선도기업과 현장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인천국제공항공사 이학재 사장(사진 왼쪽) 피아스페이스 이성준 CTO가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 사진 2 : 인천국제공항공사는 CES 2025에 참가해 공항 서비스 혁신에 적용 가능한 첨단기술을 발굴하고 각 분야 선도기업과 현장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인천국제공항공사 이학재 사장(사진 왼쪽)과 에스오에스랩 정지성 대표이사가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